아파트 입주전망지수 최근 3개월 변동 추이. 8월 전국 지수는 75.7로 전월 대비 20.1p 하락했다. (자료=주택산업연구원)

[하우징포스트=오명근 기자]
6·27 대출규제 시행 이후 아파트 입주전망이 얼어붙고 있다. 입주전망지수는 분양받은 아파트의 잔금 납부와 실제 입주 가능성을 수치로 나타낸 지표로, 100 미만이면 부정적인 전망이 우세하다는 뜻이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13일, 주택사업자 설문에서 8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75.7로 집계돼 전월(95.8)보다 20.1포인트 하락했다고 밝혔다.

수도권 하락폭이 가장 컸다. 전월 117.1에서 76.1로 41.0포인트 떨어졌으며, 서울은 121.2→
6.3으로 44.9포인트, 인천은 111.5→70.3으로 41.2포인트, 경기도는 118.7→81.8로 36.9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광역시는 91.0→80.2로 10.8포인트, 도 지역은 91.5→72.2로 19.3포인트 낮아졌다. 5대 광역시 중에서는 대전만 87.5→91.6으로 소폭 상승했다.

주산연은 “분양아파트 잔금대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에 더해 주택담보대출 한도 6억 원 제한, 전세대출을 통한 잔금 충당 금지 등 규제가 즉각 시행됐다”며 “수요 억제 중심의 정책 기조에 대한 우려도 부정 전망을 키웠다”고 설명했다.

지난 7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63.9%로 전월 대비 3.0%포인트 상승했다. 수도권은 83.4%(+2.6%p), 5대 광역시는 60.8%(+7.0%p), 기타 지역은 58.8%(+0.1%p)였다. 그러나 미입주 사유 중 ‘잔금대출 미확보’ 비율이 27.1%에서 38.5%로 크게 늘어나 자금 경색이 입주를 가로막는 주요 요인으로 부상했다.

부동산 중개업계는 고강도 대출 규제로 입주 부담이 커지면서 미입주 물량 증가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주택개발업계는 “고금리와 대출 규제가 맞물려 입주 포기나 계약 해제 사례가 늘 수 있다”며 “연말까지 지수가 추가 하락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아파트입주전망지수 #6·27대출규제 #잔금대출 #미입주 #주택산업연구원#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