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20일 이재명 대통령이 인사혁신처 처장에 최동석 최동석인사조직연구소 소장, 새만금개발청장에 김의겸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에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국립중앙박물관 관장에 유홍준 명지대 미술사학과 석좌교수를 임명했다고 전했다. 왼쪽부터 최동석, 김의겸, 권대영, 유홍준. (사진=대통령실 제공)
[하우징포스트=박영신 대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김의겸 전 국회의원을 새만금개발청장(차관급)으로 임명했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대변인을 지낸 김 청장은 지역 기반과 정무 감각을 겸비한 언론인 출신 정치인으로, 대통령 공약인 ‘RE100 국가산단 조성’을 본격 추진할 적임자라는 평가가 나온다.
◆정무형 소통인사 전면에…지역 기반 강조
김 청장은 전북 군산 출신으로, 고려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한겨레신문 기자로 재직했고, 2018년 문재인 정부 청와대 대변인으로 발탁됐다. 이후 21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당선돼 국회에서 4년간 의정 활동을 펼쳤다.
대통령실은 “지역 협력과 정책 소통에 강점을 가진 인물로, 새만금을 재생에너지 기반 국가산단의 중심지로 육성하겠다는 대통령 공약을 실현할 적임자”라고 밝혔다.
◆RE100 국가산단 구상, 본격 추진 신호탄
이번 인사는 새만금을 ▲재생에너지 기반 RE100 국가산단 ▲국가전략형 첨단산업기지 ▲동북아 국제 물류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대통령의 구상을 실행에 옮기기 위한 신호탄으로 풀이된다.새만금청은 이달부터 민간 매립 유도, 전력 계통망 구축, 외국인 투자 유치 기반 조성 등 핵심 과제를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주거·교육·복지 인프라를 포함한 정주여건 개선과 스마트그린 도시계획 연계도 동시에 요구되는 상황이다.
◆산단·주거 복합개발…입지규제 해소 시범사업 주목
김 청장은 향후 새만금의 ▲산업단지 개발 ▲배후 주거지 조성 ▲항만·공항 인프라 구축 등 통합개발 사업 전반을 조율하게 된다.
특히 새만금은 산업부와 국토교통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RE100 기반 입지규제 해소 시범사업지’로 운영 중이며 ▲용도지역 통합 ▲인허가 패스트트랙 ▲전력 인입 우선 지원 등이 실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지는 "새만금이 단순한 산업단지 개발을 넘어, 에너지 전환·주거계획·도시기반 확충이 융합된 국가 미래지형의 실험장이자 복합모델 테스트베드로 작동하고 있다"고 평가해왔다.
◆“성과로 말해야 할 시기”…정책 일관성과 협업체계 관건
그간 새만금 개발은 정책 일관성 부족과 부처 간 조율 실패로 수차례 표류를 겪은 바 있다. 김 청장이 향후 민간·지자체·중앙부처 간 협업을 어떻게 이끌어갈지에 따라 개발의 성패가 좌우될 수 있다. 지역 여론을 이끌고 국제홍보까지 감당할 수 있는 김 청장의 ‘언론·정치·지역 3요소’ 결합형 이력은, 조직 운영뿐 아니라 정책 추진의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책 전문가들은 “새만금은 더 이상 계획단계가 아니라, 균형발전과 산업전환을 입증할 시험장으로 전환되고 있다”며 “성과 중심의 관리체계와 명확한 인허가 로드맵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대통령실은 이날 김 청장 외에도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최동석 인사혁신처장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장 등 차관급 4개 직위에 대한 인사를 함께 발표했다.
#새만금개발청 #김의겸 #RE100국가산단 #균형발전 #에너지전환 #산단개발 #국가전략산단 #하우징포스트 #이재명정부 #지역정책 #정무형인사
※ 리드문~마지막까지 『하우징포스트 스타일북』 기준에 따라
① 문장 구조 및 어미 조율,
② 중복 표현 정리,
③ 시점 기준 명료화,
④ 기호 사용 원칙(▲, 날짜 표기 등),
⑤ 정책 중심 단어 선택 등 전체 정밀 데스킹 완료 상태입니다.
출고 전 추가 피드백이나 사진 캡션 연계 필요 여부 등 말씀 주시면, 즉시 반영하겠습니다.
▮ 문재인 정부 대변인·전 의원…지역 기반 갖춘 정무형 인사
▮ 이 대통령 ‘RE100 산단’ 공약 실현…주거·산단 복합개발 기대
▮ 공항·항만·에너지망 재편 가속…ESG 기반 유치전 시동
▮ “균형발전 실험장, 성과로 증명해야”…부처 협업이 관건
[하우징포스트=리차드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김의겸 전 국회의원을 새만금개발청장(차관급)으로 임명했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대변인을 지낸 김 청장은 지역 기반과 정무 감각을 겸비한 언론인 출신 정치인으로, 대통령 공약인 ‘RE100 국가산단 조성’을 본격 추진할 적임자로 평가된다.
▍정무형 소통인사 전면에…지역 기반 강조
김 청장은 전북 군산 출신으로, 고려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한겨레신문 기자로 재직했고, 2018년 문재인 정부 청와대 대변인으로 발탁됐다. 이후 21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당선돼 국회에서 4년간 의정 활동을 펼쳤다.
대통령실은 “지역 협력과 정책 소통에 강점을 가진 인물로, 새만금을 재생에너지 기반 국가산단의 중심지로 육성하겠다는 대통령 공약을 실현할 적임자”라고 밝혔다.
▍RE100 국가산단 구상, 본격 추진 신호탄
이번 인사는 새만금을 ▲재생에너지 기반 RE100 국가산단 ▲국가전략형 첨단산업기지 ▲동북아 국제 물류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대통령의 구상을 실행에 옮기기 위한 신호탄으로 풀이된다.
새만금청은 이달부터 민간 매립 유도, 전력 계통망 구축, 외국인 투자 유치 기반 조성 등 핵심 과제를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주거·교육·복지 인프라를 포함한 정주여건 개선과 스마트그린 도시계획 연계도 동시에 요구되는 상황이다.
▍산단·주거 복합개발…입지규제 해소 시범사업 주목
김 청장은 향후 새만금의 ▲산업단지 개발 ▲배후 주거지 조성 ▲항만·공항 인프라 구축 등 통합개발 사업 전반을 조율하게 된다.
특히 새만금은 산업부와 국토교통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RE100 기반 입지규제 해소 시범사업지’로 운영 중이며, ▲용도지역 통합 ▲인허가 패스트트랙 ▲전력 인입 우선 지원 등이 실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하우징포스트』는 새만금이 단순한 산업단지 개발을 넘어, 에너지 전환·주거계획·도시기반 확충이 융합된 국가 미래지형의 실험장이자 복합모델 테스트베드로 작동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성과로 말해야 할 시기”…정책 일관성과 협업체계 관건
그간 새만금 개발은 정책 일관성 부족과 부처 간 조율 실패로 수차례 표류를 겪은 바 있다. 김 청장이 향후 민간·지자체·중앙부처 간 협업을 어떻게 이끌어갈지에 따라 개발의 성패가 좌우될 수 있다.
지역 여론을 이끌고 국제홍보까지 감당할 수 있는 김 청장의 ‘언론·정치·지역 3요소’ 결합형 이력은, 조직 운영뿐 아니라 정책 추진의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책 전문가들은 “새만금은 더 이상 계획단계가 아니라, 균형발전과 산업전환을 입증할 시험장으로 전환되고 있다”며 “성과 중심의 관리체계와 명확한 인허가 로드맵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대통령실은 이날 김 청장 외에도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최동석 인사혁신처장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장 등 차관급 4개 직위에 대한 인사를 함께 발표했다.
#김의겸 #새만금개발청 #RE100국가산단 #균형발전 #에너지전환 #산단개발 #국가전략산단 #하우징포스트 #이재명정부 #지역정책 #정무형인사
※ 리드문~마지막까지 『하우징포스트 스타일북』 기준에 따라
① 문장 구조 및 어미 조율,
② 중복 표현 정리,
③ 시점 기준 명료화,
④ 기호 사용 원칙(▲, 날짜 표기 등),
⑤ 정책 중심 단어 선택 등 전체 정밀 데스킹 완료 상태입니다.
출고 전 추가 피드백이나 사진 캡션 연계 필요 여부 등 말씀 주시면, 즉시 반영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