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소버스 보급 확대를 위해 3월 1일부터 연료보조금을 1㎏당 3,600원에서 5,000원으로 인상한다. 사진은 서울시내 운행중인 수소시내버스.
[하우징포스트=문승용 기자]
정부가 수소버스 보급 확대를 위해 3월 1일부터 연료보조금을 1㎏당 3,600원에서 5,000원으로 인상한다. 이에 따라 수소버스를 운영하는 사업자의 연료비 부담이 크게 줄어들면서, 수소버스 도입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조치는 지난 1월 15일 열린 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된 ‘친환경차·이차전지 경쟁력 강화 방안’의 후속 조치로 마련됐다. 국토교통부는 이를 기반으로 2030년까지 수소버스 2만1,000대를 보급하는 목표를 추진할 계획이다.
◆업계 환영, "연간 연료비 부담 22% 감소"
현재 전국 평균 수소 판매가는 1㎏당 약 1만 원 수준이다. 기존 연료보조금이 적용될 경우, 사업자가 부담하는 연료비는 1㎏당 6,400원이었지만, 이번 보조금 인상으로 부담액이 5,000원으로 줄어든다. 이에 따라 사업자의 연료비 부담이 약 22% 경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연간 9만㎞를 운행하는 시내버스를 기준으로 보면, 연료비는 약 3,400만 원에서 2,650만 원 수준으로 낮아진다. 국토부는 이를 통해 수소버스의 연료비가 전기버스 수준으로 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충전·정비 인프라 확대…수소버스 도입 촉진
수소버스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충전·정비 인프라 확충이 필수적이다. 현재 전국에는 수소버스를 위한 대용량 수소충전소가 약 54곳 운영 중이며, 국토부는 이를 더욱 확대해 버스사업자의 수소버스 도입 장벽을 낮출 계획이다.
수소버스는 친환경적인 대중교통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충전소와 정비소 부족, 높은 연료비 부담 등으로 인해 사업자들이 도입을 망설여왔다. 이에 국토부는 연료비 보조금 인상과 함께 전국 단위 충전·정비 인프라 확충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정부는 유가보조금 지급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유가보조금관리시스템을 3월 4일부터 대국민 서비스로 개방한다. 이를 통해 사업자와 국민 누구나 보조금 지급 현황과 정책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부정수급 신고도 가능해진다.
◆ 국토부 “수소버스 경쟁력 확보, 지속 지원”
국토부는 수소버스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연료비 지원뿐만 아니라 장거리 운행 모델 개발, 충전·정비 인프라 확충, 수소 생산비용 절감 등의 정책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수소버스의 연료비 부담을 낮추고, 충전·정비 인프라를 확충해 2030년까지 2만1,000대의 수소버스를 보급하는 목표를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