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 시간에 투입되는 서울 자율주행 버스(사진=국토교통부)
[하우징포스트=박영신 대기자]
자율주행차(스스로 주행하는 자동차)가 대중교통의 보완책으로 자리 잡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18일 서울, 세종, 경기(판교·안양), 충남(천안), 경북(경주), 경남(하동), 제주 등 7개 지자체에 총 26억 원의 운영비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번 지원은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서비스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자율주행 신기술 실증과 대중교통 사각지대 해소를 목표로 한다.
◆서울, 심야·새벽 자율주행차 확대
서울에서는 심야와 새벽 시간대 자율주행 서비스가 대폭 확대된다.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기존보다 운행 범위를 넓히고, 택시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자율주행택시 운행이 늘어난다. 현재 역삼, 대치, 도곡, 삼성, 서초 일부 지역에서 운영 중인 자율주행택시는 앞으로 논현, 신사, 압구정, 청담까지 확대된다. 심야와 새벽 시간 첫차를 운행하는 자율주행버스도 증차되며, 운행 노선 역시 기존 대비 확장될 계획이다.
서울 강남 일부 지역에서 운행 중인 자율주행 택시.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산업·주거 연결 ‘라스트마일 서비스’ 도입
경기도에서는 판교 도시첨단산업단지 근로자를 위한 자율주행 노선버스가 운영된다. 안양에서도 주간 및 심야 시간대 자율주행버스가 신설돼, 출퇴근 시간 대중교통 불편을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 세종시는 광역급행버스(BRT)와 주거 단지를 연결하는 ‘라스트마일 서비스’(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에서 내려 최종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교통 서비스)를 도입해 대중교통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경남 하동에 첫 도입되는 '농촌형 자율주행 버스'.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농촌도 ‘자율주행버스’, 교통 사각지대 해소
농촌 지역에서도 자율주행버스 도입이 추진된다. 경남 하동에서는 교통 인프라가 부족한 농촌 지역에 맞춰 짐칸을 갖춘 자율주행버스가 운행된다. 그동안 지역 주민들은 병원, 시장, 복지회관을 가기 위해 먼 거리를 걸어야 하거나 택시를 이용해야 했지만, 이번 사업으로 이동 편의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경주 APEC 자율주행 셔틀(사진=국토교통부)
◆경주 제주에도 자율주행차 운행
경북 경주에서는 2025년 APEC 정상회의 기간 동안 자율주행셔틀이 운영된다. 회의장과 숙소를 오가는 실무진과 관계자를 위한 이동 서비스로, 한국의 자율주행 기술력을 세계에 선보일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에서는 서귀포와 제주를 연결하는 자율주행 노선버스가 도입돼 관광객들의 이동 편의가 증진될 예정이다.
세종시 순환 자율셔틀 차량. (사진=국토부 제공)
김홍목 국토교통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자율주행차가 이미 일부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지만 국민 체감도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며, "이번 지원을 통해 신기술 실증을 강화하고, 대중교통 사각지대를 해소하며, 국민이 자율주행 서비스를 더욱 가까이 경험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자율주행 #자율주행차 #자율차 #스마트모빌리티 #미래교통 #자율주행버스 #자율주행택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