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울주군에 조성될 청년특화주택 조감도. 공유거실, 공유주방, 공유오피스, 계절창고 등 지역·수요층에 맞는 청년 맞춤형 특화시설이 반영됐다. (자료=국토교통부 제공)
[하우징포스트=박영신 대기자]
공공임대주택이 단순한 복지 공급을 넘어, 지역 여건과 수요층에 따라 ‘설계되는 맞춤형 공공주택시대’로 전환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6일 ‘2025년 상반기 특화주택 공모사업’ 결과를 발표하고, 전국 14곳에 총 1,786가구 규모의 수요자 맞춤형 특화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공모는 지자체가 직접 설계한 ‘지역제안형’ 중심으로 구성됐으며, 청년·고령자·산업단지 근로자 등 다양한 계층의 주거 수요에 대응하는 맞춤형 모델이 포함됐다.
◆ 전국 14곳서 공급…지역제안형 비중 60% 넘어
이번 공모는 지난 4월 7일부터 6월 8일까지 진행됐다. 총 14개 사업이 선정됐다. 유형별로는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1,083가구(4곳) ▲고령자복지주택 368가구(4곳) ▲청년특화주택 176가구(3곳)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159가구(3곳) 등이다.
이 가운데 지역제안형은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했다. 지자체가 지역 여건에 맞춰 입주 조건과 특화시설을 자율적으로 설계하는 방식으로, 국토부는 “공공임대의 맞춤형 전환을 이끄는 핵심 유형”이라고 설명했다.
경기도 부천시에 들어설 고령자복지주택 조감도. 사회복지관, 건강생활지원센터 등 지역 고령층을 위한 맞춤형 복지시설이 반영됐다. (자료=국토교통부 제공)
◆ 부천 3기 신도시에 ‘세대 돌봄형 임대주택’ 첫 도입
대표 사례는 경기도 부천 대장지구에서 추진되는 741가구 규모의 지역제안형 특화주택이다.
이 사업은 3기 신도시 내 공공복합용지를 활용해 주거, 상업, 공공시설이 융합된 구조로 설계되며, 만 55세 이상 중산층 고령자와 일하는 시민이 함께 입주하는 ‘세대 돌봄형’ 모델로 조성된다.이는 3기 신도시에 도입되는 첫 공공복합형 임대주택으로, 주거 안정성과 지역 돌봄 기능을 결합한 새로운 시도로 평가된다.
◆ 청년 군무원·탄광 근로자·창업 종사자까지…입주 대상 다변화
지자체 설계형 주택은 지역 수요를 반영해 입주 대상을 세분화했다. 경기 동두천시는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210가구 규모 임대주택을 지행역 인근에 공급한다. 경기 포천시는 청년 군무원을 위한 32가구 규모 주택을 조성한다. 강원 삼척시 도계읍에는 탄광 근로자와 대학생 등을 위한 100가구 규모 주택이 공급되며, 멘토링과 심리상담 등 세대 간 교류 프로그램도 병행된다.
청년특화주택은 ▲전북 고창(40가구) ▲부안(100가구) ▲울산 울주(36가구)에서 추진된다. 공유주방, 계절창고, 공용 거실 등 청년 선호 편의시설이 함께 조성된다.
◆ 일자리 연계형 주택도 포함…직주근접 공공임대 확산
직주근접형 임대주택도 확대된다. 광명시 학온지구에는 산업단지 근로자와 청년 창업인을 위한 123가구 규모의 일자리연계형 주택이 조성된다. 공유오피스, 회의실 등 업무지원 공간도 함께 설치된다. 울산 온산국가산단 근처에는 근로자를 위한 36가구 규모의 지원주택이 공급된다.
국토부는 "일자리와 주거가 결합된 공공임대 유형은 청년층과 근로자 정주 여건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이번 사업은 지자체가 설계한 수요자 맞춤형 임대 모델로, 정주 환경과 복지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정책 사례”라며, “사업설명회, 설계 컨설팅, 인허가 지원 등을 통해 지자체 설계 기반 임대주택의 전국 확산을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공임대 #특화주택 #지자체설계 #부천대장지구 #청년주택 #고령자복지주택 #직주근접 #하우징포스트